제4차 국어발전 기본계획(2022~2026)
비전
디지털시대 소통하는 국어, 모두가 누리는 한국어, 한국문화
목표
- 4차 산업혁명 시대 환경에 대응하는 국어정책 기반 조성 역량 집중
- 한국어 생태계 확장 및 함께 누리는 한글문화로 전환
- 한글 분석 말뭉치 구축(누적) 10종('21년) → 26종('26년)
- 세종학당 수 확대 234개소('21년) → 350개소('26년)
전략 및 추진과제
- 전략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어정책 기반 조성
- 1-1 인공지능 개발 언어문화 산업 기반 구축
- 1-2 다양한 언어현실을 반영한 국어정책 기반자료 구축
- 1-3 이용자 수요에 맞는 국어사전 기능 강화와 언어지원 구축
- 전략2 쉽고 바르게 소통하는 언어 환경 조성
- 2-1 국민소통 강화를 위한 생활 속 언어문화 기반 조성
- 2-2 공공언어 종합 평가 및 통합 관리 체계 구축
- 2-3 디지털 시대의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 지원
- 전략3 언어 다양성 환경 기반 조성
- 3-1 사회통합을 위한 포용적 언어 복지 환경 조성
- 3-2 지역적 사회적 변인에 따른 언어문화 다양성 보존
- 3-3 남북 언어 소통 기반 마련
- 전략4 한국어 생태계 확장
- 4-1 한국어 교육기반 현지화 및 시장 확대
- 4-2 국내외 한국어 확산을 위한 세종학당 내실화
- 4-3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내실화 및 교원 전문성 강화
- 전략5 한글문화 및 산업 활성화
- 5-1 한글문화 자원의 체계적 수집 및 전시교육 강화
- 5-2 한글문화 산업 육성
- 5-3 세계 문자 전시 교육 기능 강화
이미지 확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