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한국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한류'
- 게시일
 - 2012.12.17.
 - 조회수
 - 13020
 - 담당부서
 - 영상콘텐츠산업과(02-3704-9679)
 - 담당자
 - 장승철
 - 본문파일
 - 붙임파일
 
| 
 한국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한류' - 한국대중가요(K-Pop)가 드라마(2월 조사 1위)를 제치고 한류콘텐츠 1위 차지 - 일본, ‘한류는 이미 끝났다’는 응답이 1차 조사 대비 26%p 상승한 41%로 나타남 - 한류지속 저해요인 ‘콘텐츠 획일성’, ‘지나친 상업성’으로 평가  | 
|---|
□ 해외에서 한국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한식’, ‘한국대중가요(K-pop)’, ‘드라마' 등 이른바 한류인 것으로 조사됐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 이하 문화부)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사장 이팔성, 이하 재단)은 지난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해외 9개국(중국, 일본, 대만, 태국, 미국, 브라질, 프랑스, 영국, 러시아) 총 3,600명을 대상으로 ‘제2차 한류 및 한국이미지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한류가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 해외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류 및 한국이미지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한국에 대한 대표 이미지 및 한류의 인기 요인 등 대부분 설문에서 조사 권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 대표 국가이미지 ‘한류’, 하지만 여전히 서유럽에서는 ‘한국전쟁’
○ 한국에 대한 최초 상기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서 전체응답 1위는 ‘한식’, 2위는 ‘드라마’, 3위는 ‘한국대중가요(K-pop)', '전자제품’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의 경우 ‘드라마, 한국대중가요(K-pop)', 미주는 ‘한식, 전자제품’, 유럽은 ‘한국전쟁, 전자제품’이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조사되어 나라마다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다르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특히 서유럽지역에서는 부정적 키워드인 ‘한국전쟁’이 한국의 대표이미지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남북의 정치, 군사, 핵무기 등이 국내외에 이슈화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한국 최초 이미지 순위 결과(1차, 2차조사결과 비교)] (단위 : 명,(%))
| 
 순위  | 
 최초 이미지  | 
 회차  | 
 국가  | 
|||||||||
|---|---|---|---|---|---|---|---|---|---|---|---|---|
| 
 아시아  | 
 미주  | 
 유럽  | 
 합계  | 
|||||||||
| 
 중국  | 
 대만  | 
 일본  | 
 태국  | 
 미국  | 
 브라질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 
 1  | 
 한식  | 
 1차  | 
 81(20)  | 
 57(14)  | 
 109(27)  | 
 29(7)  | 
 69(17)  | 
 27(7)  | 
 26(7)  | 
 49(12)  | 
 75(19)  | 
 522  | 
| 
 2차  | 
 92(23)  | 
 61(15)  | 
 106(27)  | 
 58(15)  | 
 88(22)  | 
 29(7)  | 
 20(5)  | 
 35(9)  | 
 78(20)  | 
 567  | 
||
| 
 2  | 
 드라마  | 
 1차  | 
 169(42)  | 
 106(27)  | 
 70(18)  | 
 205(51)  | 
 50(13)  | 
 10(3)  | 
 24(6)  | 
 18(5)  | 
 5(1)  | 
 657  | 
| 
 2차  | 
 121(30)  | 
 83(21)  | 
 78(20)  | 
 136(34)  | 
 13(3)  | 
 2(0)  | 
 15(4)  | 
 11(3)  | 
 7(2)  | 
 466  | 
||
| 
 3  | 
 전자 제품  | 
 1차  | 
 64(16)  | 
 94(24)  | 
 27(7)  | 
 13(3)  | 
 29(7)  | 
 49(12)  | 
 59(15)  | 
 50(13)  | 
 119(30)  | 
 504  | 
| 
 2차  | 
 55(14)  | 
 71(18)  | 
 23(6)  | 
 39(10)  | 
 15(4)  | 
 64(16)  | 
 44(11)  | 
 42(11)  | 
 88(22)  | 
 441  | 
||
| 
 4  | 
 K-Pop  | 
 1차  | 
 13(3)  | 
 51(13)  | 
 144(36)  | 
 107(27)  | 
 86(22)  | 
 47(12)  | 
 43(11)  | 
 39(10)  | 
 6(2)  | 
 536  | 
| 
 2차  | 
 23(6)  | 
 68(17)  | 
 123(31)  | 
 55(14)  | 
 49(12)  | 
 29(7)  | 
 36(9)  | 
 50(13)  | 
 8(2)  | 
 441  | 
||
| 
 5  | 
 한국 전쟁  | 
 1차  | 
 4(1)  | 
 12(3)  | 
 7(2)  | 
 5(1)  | 
 33(8)  | 
 39(10)  | 
 69(17)  | 
 50(13)  | 
 23(6)  | 
 242  | 
| 
 2차  | 
 2(1)  | 
 1(0)  | 
 4(1)  | 
 3(1)  | 
 62(15)  | 
 45(11)  | 
 81(20)  | 
 74(19)  | 
 14(4)  | 
 286  | 
||
한류 대표 콘텐츠로는, ‘강남스타일’ 열풍에 힘입어 ‘한국대중가요(K-pop)’ 선정
○ 이어 ‘한류의 대표 콘텐츠라고 생각하는 분야’를 선정하는 질문에서는 ‘한국대중가요(K-Pop)'가 ‘강남스타일’ 열풍 등에 힘입어 지난 1차 조사 결과 1위인 ‘드라마’를 제치고 한류의 핵심 콘텐츠로 부상했다. 그 뒤를 이어 ‘드라마’와 ‘한식’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 지역에서는 여전히 드라마가 강세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영화와 전통문화 분야 등에서는 비아시아 지역의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국가별 한류 핵심콘텐츠 인식 평가(1차, 2차조사결과 비교, 단위 :명)]
| 
 전체순위  | 
 구분  | 
 회차  | 
 국가  | 
 합계  | 
||||||||
|---|---|---|---|---|---|---|---|---|---|---|---|---|
| 
 아시아  | 
 미주  | 
 유럽  | 
||||||||||
| 
 중국  | 
 대만  | 
 일본  | 
 태국  | 
 미국  | 
 브라질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 
 1  | 
 K-Pop  | 
 1차  | 
 129  | 
 161  | 
 310  | 
 276  | 
 270  | 
 187  | 
 229  | 
 242  | 
 143  | 
 1947  | 
| 
 2차  | 
 151  | 
 216  | 
 280  | 
 266  | 
 273  | 
 219  | 
 185  | 
 259  | 
 198  | 
 2047  | 
||
| 
 2  | 
 드라마  | 
 1차  | 
 313  | 
 325  | 
 318  | 
 310  | 
 221  | 
 175  | 
 153  | 
 166  | 
 112  | 
 2093  | 
| 
 2차  | 
 304  | 
 313  | 
 305  | 
 287  | 
 184  | 
 128  | 
 99  | 
 161  | 
 144  | 
 1925  | 
||
| 
 3  | 
 한식  | 
 1차  | 
 247  | 
 203  | 
 159  | 
 209  | 
 207  | 
 127  | 
 144  | 
 174  | 
 172  | 
 1642  | 
| 
 2차  | 
 277  | 
 209  | 
 132  | 
 273  | 
 189  | 
 118  | 
 98  | 
 153  | 
 150  | 
 1599  | 
||
| 
 4  | 
 영화  | 
 1차  | 
 168  | 
 111  | 
 170  | 
 229  | 
 243  | 
 176  | 
 192  | 
 203  | 
 193  | 
 1685  | 
| 
 2차  | 
 160  | 
 110  | 
 144  | 
 235  | 
 196  | 
 188  | 
 130  | 
 196  | 
 191  | 
 1550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빨간색 박스는 국가별 1위를 의미함
한류의 인기요인은 콘텐츠의 ‘새롭고 독특함’, 한류스타의 ‘매력적인 외모’
○ 한류인기의 주요요인이 무엇인지를 물었을 때 전체응답의 1위는 ‘새롭고 독특함(56.1%)’이, 2위는 ‘매력적인 외모(52.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의 경우 ‘매력적인 외모’가, 미주와 유럽의 경우 ‘새롭고 독특함’이 1위로 나타나 지역별 차이를 나타냈다.
- 이는 아시아의 경우 외모가 유사한 한류 스타들이 자신들이 선망하는 외모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문화 및 외모가 상대적으로 상이한 미주와 유럽은 콘텐츠 품질 평가에 비중을 두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 그러나 한류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전문성’과 ‘우수한 품질’ 부문에 대한 답변은 여전히 하위권을 기록한 데다 1차 조사 대비 오히려 줄어들고(전문성 : 39.6%→35.3%, 우수한 품질 : 47.0% → 42.2%) 있어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한류의 인기요인]
(단위 : 명)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 “흥미로움”, “유행선도”, “접근의 용이성”은 2차조사에 새롭게 포함된 문항임  | 
|---|
[국가별 한류의 인기비결(1차, 2차조사결과 비교)]
(단위 : 명)
| 
 구분  | 
 회차  | 
 국가별  | 
|||||||||
|---|---|---|---|---|---|---|---|---|---|---|---|
| 
 아시아  | 
 미주  | 
 유럽  | 
 합계  | 
||||||||
| 
 중국  | 
 대만  | 
 일본  | 
 태국  | 
 미국  | 
 브라질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 
 새롭고 독특함  | 
 1차  | 
 242  | 
 198  | 
 100  | 
 314  | 
 254  | 
 217  | 
 223  | 
 243  | 
 238  | 
 2029  | 
| 
 2차  | 
 241  | 
 242  | 
 138  | 
 292  | 
 239  | 
 209  | 
 180  | 
 216  | 
 264  | 
 2021  | 
|
| 
 매력적인 외모  | 
 1차  | 
 298  | 
 275  | 
 215  | 
 339  | 
 230  | 
 142  | 
 201  | 
 187  | 
 145  | 
 2032  | 
| 
 2차  | 
 290  | 
 296  | 
 186  | 
 337  | 
 181  | 
 157  | 
 141  | 
 127  | 
 161  | 
 1876  | 
|
| 
 흥미로움  | 
 1차  | 
 -  | 
 -  | 
 -  | 
 -  | 
 -  | 
 -  | 
 -  | 
 -  | 
 -  | 
 -  | 
| 
 2차  | 
 171  | 
 167  | 
 64  | 
 301  | 
 261  | 
 223  | 
 159  | 
 215  | 
 249  | 
 1810  | 
|
| 
 유행선도  | 
 1차  | 
 -  | 
 -  | 
 -  | 
 -  | 
 -  | 
 -  | 
 -  | 
 -  | 
 -  | 
 -  | 
| 
 2차  | 
 237  | 
 210  | 
 40  | 
 309  | 
 172  | 
 176  | 
 181  | 
 120  | 
 92  | 
 1537  | 
|
| 
 우수한 품질  | 
 1차  | 
 196  | 
 156  | 
 86  | 
 271  | 
 213  | 
 190  | 
 183  | 
 219  | 
 177  | 
 1691  | 
| 
 2차  | 
 180  | 
 186  | 
 72  | 
 284  | 
 148  | 
 200  | 
 118  | 
 150  | 
 182  | 
 1520  | 
|
| 
 뛰어난 퍼포먼스  | 
|||||||||||
| 
 1차  | 
 212  | 
 195  | 
 112  | 
 292  | 
 218  | 
 138  | 
 156  | 
 197  | 
 141  | 
 1661  | 
|
| 
 2차  | 
 192  | 
 203  | 
 133  | 
 263  | 
 175  | 
 176  | 
 97  | 
 139  | 
 124  | 
 1502  | 
|
| 
 전문성  | 
 1차  | 
 162  | 
 157  | 
 76  | 
 299  | 
 149  | 
 142  | 
 134  | 
 161  | 
 145  | 
 1425  | 
| 
 2차  | 
 157  | 
 190  | 
 72  | 
 227  | 
 116  | 
 126  | 
 75  | 
 107  | 
 157  | 
 1227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빨간색 박스는 국가별 1위를 의미
한류콘텐츠 경험 후 ‘한국제품구매’, ‘한식체험’, ‘한국방문’하고 싶어
○ 한류 대표 콘텐츠(드라마, 영화, K-Pop)를 접한 후의 파급효과에 대한 설문에서는 ‘한국제품구매’, ‘한식체험’, ‘한국방문’ 이 1위부터 3위까지를 차지하고 있다.
- 한편 4위부터는 드라마의 경우 ‘의류 구매’, 영화는 ‘전통문화학습’, ‘한국대중가요(K-Pop)’은 ‘한국어학습’에 대한 유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이는 한류 영상물의 경우 한식이나 의류 등 생활문화 등을 시각적 정보물로 제공하게 되어 ‘의류구매’, ‘전통문화학습’에 대한 유인이 발생하며 음악의 경우 청각을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 특성상 가사를 듣고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가 ‘한국어 학습’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류 콘텐츠별 기대효과]
| 
 
  |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 
 
  |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 
 
  |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응답자 66% ‘한류, 4년 이내 끝날 것’, 일본 ‘한류, 이미 끝났다’ 응답 대폭 상승
○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해외 거주 외국인 약 66%가 4년 이내에 한류가 끝날 것이라고 응답하여 1차 조사 대비 약 6%p 상승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한류콘텐츠 최대 소비국인 일본의 경우 ‘한류는 이미 끝났다’는 응답이 1차 조사 대비 26%p 상승한 41%로 나타나 한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적신호를 보였다.
[한류의 지속기간]
| 
 [1차 조사결과(‘12.2월)] 
  | 
 [2차 조사결과(‘12.11월)] 
  | 
|||||||||||||||||||||||||||||||||||||||||||||
|---|---|---|---|---|---|---|---|---|---|---|---|---|---|---|---|---|---|---|---|---|---|---|---|---|---|---|---|---|---|---|---|---|---|---|---|---|---|---|---|---|---|---|---|---|---|---|
| 
 
 
  | 
||||||||||||||||||||||||||||||||||||||||||||||
| 
 [한류의 지속기간] (단위 : 명,(%)) 
 
  | 
||||||||||||||||||||||||||||||||||||||||||||||||||||||||||||||||||||||||||||||||||||||||||||||||||||||||||||||||||||||||||||||||||||||||||||||||||||||||||||||||||||||||||||||||||||||||||||||||||||||||||||
|---|---|---|---|---|---|---|---|---|---|---|---|---|---|---|---|---|---|---|---|---|---|---|---|---|---|---|---|---|---|---|---|---|---|---|---|---|---|---|---|---|---|---|---|---|---|---|---|---|---|---|---|---|---|---|---|---|---|---|---|---|---|---|---|---|---|---|---|---|---|---|---|---|---|---|---|---|---|---|---|---|---|---|---|---|---|---|---|---|---|---|---|---|---|---|---|---|---|---|---|---|---|---|---|---|---|---|---|---|---|---|---|---|---|---|---|---|---|---|---|---|---|---|---|---|---|---|---|---|---|---|---|---|---|---|---|---|---|---|---|---|---|---|---|---|---|---|---|---|---|---|---|---|---|---|---|---|---|---|---|---|---|---|---|---|---|---|---|---|---|---|---|---|---|---|---|---|---|---|---|---|---|---|---|---|---|---|---|---|---|---|---|---|---|---|---|---|---|---|---|---|---|---|---|---|
○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로는 1차 조사 결과와 변함없이 획일화된 콘텐츠와 지나친 상업성이 1, 2위로 선정되었다. 또한 유럽지역에서는 ‘한국 문화에 대한 공감이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 한류의 문제점으로 2차 조사에 새롭게 추가된 ‘역사/정치적 이해관계’ 문항은 전체 응답 4위로 나타났으며, 이는 아시아 지역뿐 아니라 비아시아 지역에서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한 국가의 문화가 타 국가로 전파될 때 정치/역사적 이해관계가 보편적인 장애요인으로 인식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면서 독도분쟁과 같은 정치/역사적 이해관계가 타 문화에 대한 반감으로 확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류의 문제점]
| 
 
 * “역사,정치적 이해관계”, “타문화대비 수준이하”는 2차조사에만 포함된 값임/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 
|---|
한류 확산 위해 한류경험 기회 확대 필요
○ 한류 확산을 위한 제언 설문에서는 ‘다국어 한국정보부족(43%)’과 ‘경험 기회부족(38%)’이 1위와 2위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지 번역 인력 육성을 통한 다국어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성화하고, 한류콘텐츠 체험 공간과 정보센터를 조성하여 한류홍보와 수익모델 개발, 소비자의 한류정보 갈증을 해소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류 확산을 위한 제언]
| 
 
  | 
|---|
* 상기 결과는 다중응답의 결과임
□ 문화부 관계자는 동 설문조사 발표와 관련,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경제·인문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도모하고 이를 통한 한류의 외연 확대 및 내실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류의 추이 분석을 위해 반기별로 조사되어, 지난 2월 1차 조사에 이어 2차로 진행된 이번 설문은 해외에서의 한류 실태를 파악하고 한류의 올바른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아시아, 유럽, 미주지역 등 권역별로 분류, 진행되었다.
‘책 읽는 소리, 대한민국을 흔들다! 하루 20분씩, 일 년에 12권 읽기!’
|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산업팀 하현진 사무관(☎ 02-3704-9384),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박성현 박사(☎02-523-105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한류'"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