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 문화원형 활용 늘린다

게시일
2007.01.24.
조회수
4626
담당부서
()
담당자
관리자

 디지털로 복원된 문화원형 활용을 위한 사업이 확대된다.


  문화관광부는 24일 전통 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산업 창작소재 활용과 창작기반 인프라 강화를 골자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제2차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에 확정 발표된 2차 사업은 보다 산업적 수요가 많은 문화원형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발굴, 개발하고 활용도를 극대화해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등 문화원형의 산업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차 사업에는 ▲창작인프라 지속 강화, ▲개발된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촉진, ▲창작소재시장 육성, ▲혁신체계 마련 등 4대 과제에 총 16개 사업이 포함됐다.


  이번 사업으로 다양한 소재를 발굴해 창작활동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이며 고증과 재현을 바탕으로 한 원형자료에 근거한 작품제작을 가능케 해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다양한 소재에 대한 점유권을 선점할 수 있어 새로운 시장인 콘텐츠 소재 시장을 개척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조창희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은 “이와 함께 인문학에 근거한 다양한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과 콘텐츠 산업계에서의 활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창조사업으로 정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제2차 기본계획’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진행된 1단계 사업과 연계된 것으로 앞으로 민족문화 원형자원의 디지털화 및 산업적 활용분야 기본계획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펼쳐진 우리 문화원형 디지털화 1단계 사업에는 5년간 약 500억을 투입되었으며 280여개 업체, 학교에서 약 3,500명의 인력이 참여해 역사, 민속, 신화, 건축, 예술 등 160개 문화원형 과제에 걸쳐 약 60만개 아이템을 개발했다.


  개발된 문화원형 콘텐츠는 문화콘텐츠 닷컴(www.culturecontents.com)과 다음(www.daum.net)에서 이용가능하다.


문의 : 문화관광부 문화기술인력팀 오진숙(eurys@mc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