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정책사업에 대한 사진·글과 영상으로 블로그 등 누리소통망 콘텐츠를 제작하는 대학생기자단입니다.


2006년 정부 중앙부처 최초의 블로그 기자단으로 출범하여,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표 블로그 <도란도란 문화놀이터>를 포함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엑스) 등을 통해 누리꾼에게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1325건 [125/265 쪽]

  • 우리가 꼭 기억해야할 봄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주 4‧3 70주년 기념 특별전

    우리가 꼭 기억해야할 봄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주 4‧3 70주년 기념 특별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3월 30일부터 오는 6월 10일까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라는 이름의 제주 4·3 아카이브 특별전시를 진행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제주특별자치도가 후원하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특별 전시는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기초한 사료와 국가기록물, 희생자들의 유품 그리고 작가들의 예술작품 등 약 200여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 대학생기자 설선정
    • 2018.04.24.
    상세보기
  •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_국립현대미술관 <당신은 몰랐던 이야기>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_국립현대미술관 <당신은 몰랐던 이야기>

    국립현대미술관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아시아’를 키워드로 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의 첫 번째 기획전인 <당신은 몰랐던 이야기>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7월 8일까지 진행된다. 전시는 우리가 지금까지 아시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자문하게 하고,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그려진 이미지들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2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 대학생기자 신예진
    • 2018.04.21.
    상세보기
  • 만화, 연극이 되다_연극 ‘마당 씨의 식탁’ & 홍연식 만화가 인터뷰

    만화, 연극이 되다_연극 ‘마당 씨의 식탁’ & 홍연식 만화가 인터뷰

    4월 13일(금)부터 오는 5월 13일(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2관에서 선보이는 연극 ‘마당 씨의 식탁’은 기존의 연극들과는 사뭇 다르다. 보편의 연극이 희곡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면 ‘마당 씨의 식탁’은 희곡이 아닌 만화로부터 그 시작을 알리기 때문이다. 연극 ‘마당 씨의 식탁’은 진흥원의 2017 만화 연계 콘텐츠 제작 지원작으로, 홍연식 만화가의 동명 작품을 원작으로 하였다. 홍연식 만화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만화는 각색을 통해서 관객들이 ‘따스한 밥 한 끼’에 대한 추억과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한다.
    • 대학생기자 이다선
    • 2018.04.20.
    상세보기
  • 신문을 깊고 넓게 보는 새로운 방법_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신문을 깊고 넓게 보는 새로운 방법_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국립중앙도서관은 2017년 2월 독특하고 의미 있는 아카이브 서비스를 시작했다. 원본 소장처가 다양한 우리나라의 고(古)신문 정보자원을 통합해 자료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다.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구축한 고(古)신문 65종의 244만 건에 달하는 기사와, 2016년,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협약을 체결하고 기증 받은 고(古)신문 15종의 기사 208만 건 등 총 74종의 고(古)신문, 452만 건의 기사가 근현대사 사료로써 제공되고 있다.
    • 대학생기자 설선정
    • 2018.04.19.
    상세보기
  • 소리로 듣고 느껴보는 한글_국립한글박물관 <소리×글자: 한글디자인> 특별전

    소리로 듣고 느껴보는 한글_국립한글박물관 <소리×글자: 한글디자인> 특별전

    국립한글박물관은 4월 9일부터 6월 3일까지 세종탄신 621돌 및 즉위 600주년 기념 특별전 <소리×글자: 한글디자인>을 개최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부터 한글디자인의 가능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하고 도전하는 것을 역점으로 두고 ‘한글실험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제2회를 맞은 이 프로젝트의 주제는 ‘소리’다. 소리글자인 한글의 조형성과 규칙성에 주목한 이번 전시는 앞서 2017년 5월 미국의 LA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 <소리×글자: 한글디자인>의 국내 확대전이다.
    • 대학생기자 이지영
    • 2018.04.19.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