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정책사업에 대한 사진·글과 영상으로 블로그 등 누리소통망 콘텐츠를 제작하는 대학생기자단입니다.


2006년 정부 중앙부처 최초의 블로그 기자단으로 출범하여,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표 블로그 <도란도란 문화놀이터>를 포함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엑스) 등을 통해 누리꾼에게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1324건 [112/265 쪽]

  • 생태 시계를 확인하다, 국립세종도서관 전시 <전시 우리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생태 시계를 확인하다, 국립세종도서관 전시 <전시 우리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국내에서도 한반도 생태계 보전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 <우리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가 국립세종도서관을 통해 6월 29일부터 8월 5일까지 개최된다.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세종도서관, 국립생태원 그리고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공동 주최한 이번 전시는 한반도 생태계 보전을 위한 국내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보전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 대학생기자 정수림
    • 2018.08.13.
    상세보기
  • 궁극의 직업체험 놀이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커리어 러너’

    궁극의 직업체험 놀이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커리어 러너’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를 상세히 설명해주는 ‘도슨트’나 ‘큐레이터’를 만나본 적이 있을 것이다. ‘큐레이터’는 전시회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홍보물 제작 등 전반적인 업무를 관장하고, ‘도슨트’는 미술이나 문화재에 대한 일정 수준의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 사람으로 전시회에서 해설을 담당한다. 큐레이터와 도슨트 이외에도 문화 예술과 관련한 직업군은 다양하다. 특히 이러한 직업군에 관심을 갖고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나 학생이 있다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커리어 러너(Career Runner & Learner)’에 주목해보자.
    • 대학생기자 정수림
    • 2018.08.13.
    상세보기
  • 한 여름의 판타지아를 선물하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한 여름의 판타지아를 선물하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뜨거운 열기로 가득한 경기도 부천의 부천시청, 한국만화박물관, 송내어울마당 솔안아트홀, CGV 부천, CGV소풍 등에서 7월 12일부터 7월 22일까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진행 중이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는 부분 경쟁을 도입한 비경쟁 국제영화제이며 '부천초이스'라는 섹션을 통해서 수상작을 가려냅니다. 다른 국제영화제와 다르게 액션, 호러, 스릴러 등 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상영하고 온전하게 영화에 집중하게 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사랑, 모험, 환상’을 주제로 53개국의 290편의 영화를 상영한다.
    • 대학생기자 황채연
    • 2018.08.08.
    상세보기
  • 고려건국 1100주년 기념 문화행사-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는 고려

    고려건국 1100주년 기념 문화행사-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는 고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7월 17일부터 27일까지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11일 동안 진행되는 이 문화행사는 특별강연, 전시, 각종 체험 행사와 공연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다.
    • 대학생기자 신지원
    • 2018.08.08.
    상세보기
  • 길 위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길 위의 인문학’ 나의 버킷리스트 저자 되기 프로그램-

    길 위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길 위의 인문학’ 나의 버킷리스트 저자 되기 프로그램-

    문학이라 하면 현학적이고 어렵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가볍게 집을 나서면 우리가 걷던 익숙한 그 길 위에서 인문학을 만나 볼 수 있다. 바로 전국 390개의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인문학의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어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생활 속 인문 활동 확산을 위하여 2013년부터 ‘길 위의 인문학’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처음에는 121개의 도서관이 참여하는 것에 그쳤지만 주민들의 높은 호응 속에 그 수는 꾸준히 늘어 올해는 390개관이 참여한다.
    • 대학생기자 정혜수
    • 2018.08.07.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