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정책사업에 대한 사진·글과 영상으로 블로그 등 누리소통망 콘텐츠를 제작하는 대학생기자단입니다.


2006년 정부 중앙부처 최초의 블로그 기자단으로 출범하여,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표 블로그 <도란도란 문화놀이터>를 포함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엑스) 등을 통해 누리꾼에게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1324건 [85/265 쪽]

  • <문화파출소 2018 오픈포럼> 문화안전망에서 배우고 소통해요

    <문화파출소 2018 오픈포럼> 문화안전망에서 배우고 소통해요

    문화파출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경찰청이 협력하여 유휴공간이었던 옛 파출소를 대상으로 문화와 예술로 새롭게 채운 복합문화공간이다. 아이에서 노인까지, 학생에서 주부까지 다양한 연령과 직업의 주민이 찾을 수 있도록 기획되어 단순한 학습공간만이 아니라 지역민끼리 서로 소통하고 배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2016년 7월 서울 수유동에 개소한 문화파출소 서울 강북을 시작으로, 경기 군포, 대구 달서, 전북 덕진, 전남 여수, 울산남부, 제주서부, 충북 청원, 강원 춘천까지 전국에 총 9개의 문화파출소가 있다.
    • 대학생기자 황채연
    • 2019.01.30.
    상세보기
  • 예술, 삶과 세대를 이야기하다_예술의전당 연극 <레드>

    예술, 삶과 세대를 이야기하다_예술의전당 연극 <레드>

    연극 ‘레드’는 마크 로스코의 생애 전반을 살피기보다 중년 시절에 있던 한 사건인 ‘씨그램 사건’에 집중한다. 1958년 마크 로스코는 뉴욕 씨그램 빌딩에 자리한 ‘포시즌 레스토랑’에 걸릴 벽화를 의뢰받는다. 당시 그는 요청에 수락했고 40여 점의 연작을 완성했다가 돌연 계약을 파기한다. 연극은 갑자기 계약을 파기한 마크 로스코에 의문을 가지며, ‘마크 로스코가 왜 그런 선택을 하였을까?’라는 물음에서 비롯한다.
    • 대학생기자 이다선
    • 2019.01.29.
    상세보기
  • 국립극단 국립창극단 신창극시리즈3 <시(詩)> 삶의 피고 짐을 그리다

    국립극단 국립창극단 신창극시리즈3 <시(詩)> 삶의 피고 짐을 그리다

    국립극장의 하늘극장에선, 칠레의 시인 파블로 네루다의 시가 판소리꾼의 울림에 올라타 원색의 조명 아래 무대를 가득 메운다. 언어로서의 ‘시’와 노래로서의 ‘판소리’는 모두 ‘운문’을 담고 있다는 데에 공통점이 있지만, 아직은 생소한 만남이다. 이런 대담한 도전을 내보인 국립창극단의 세 번째 신창극시리즈 <시(詩)>는 우리에게 어떤 ‘절묘함’을 맛보게 할까?
    • 대학생기자 김혜원
    • 2019.01.29.
    상세보기
  •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아카이브 만들기> 한국 민속의 발자취를 기록하다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아카이브 만들기> 한국 민속의 발자취를 기록하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민속아카이브 자료 수집 10년을 기념하여 특별전 <아카이브 만들기>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립민속박물관이 민속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실제 구축해온 아카이브 자료들을 소개하면서 관람객들이 아카이브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대학생기자 신예진
    • 2019.01.28.
    상세보기
  • 금산에 세워진 문화놀이터 <작은영화관 금산시네마 & 금산시장 시네마켓 청년몰>

    금산에 세워진 문화놀이터 <작은영화관 금산시네마 & 금산시장 시네마켓 청년몰>

    소박하고 정갈한 마을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하옥리 재래시장 부근에 영화관이 들어섰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영화관이 없는 지방자치단체에 작은영화관을 건립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 전북 장수군 최초의 작은영화관 ‘한누리 시네마’ 이후 37번째로 건립된 곳이 바로 이곳 금산시네마다.
    • 대학생기자 정수림
    • 2019.01.28.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