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속으로

고누

머리 맞대고 지혜를 겨루는 재미, 고누
머리 맞대고 지혜를 겨루는 재미, 고누
유래

고누는 땅바닥이나 종이 위에 말밭을 그려 놓고 말을 움직여 상대의 말이 움직이지 못하게 길을 막거나 상대의 말을 먼저 다 따내면 이기는 놀이다. 장기나 바둑보다 배우기 쉽고 특별한 도구 없이도 즐길 수 있어 오랫동안 이어졌다. 고누의 기원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전라북도 진안군 도통리의 청자가마터(사적 제551호)에서 출토된 참고누가 새겨진 유물로 보면 고누는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진 놀이라고 할 수 있다.

태평성시도 제5폭에 그려진 우물고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태평성시도> 제5폭에 그려진 우물고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고누는 ‘겨루다’의 뜻을 지닌 ‘고노다ㆍ꼬노다’에서 유래된 말로, 두 사람이 말판을 가운데 두고 서로 겨루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고누는 지역에 따라 부르는 말이 다르다. 경기도에서는 고누·고니·꼬니, 전라도에서는 꼰·꼬누, 경상도에서는 꼰, 제주에서는 꼰자 등으로 부른다. 우물고누, 호박고누, 참고누 등 그 종류가 매우 많고 말밭에 따라서 가지고 노는 말의 개수도 다르고 놀이 방법도 조금씩 다르다.

놀이방법
  • 우물고누 (또는 샘고누·강고누)

    고누놀이 놀이방법 중 가장 단순한 형태로, 대각선으로 빗금이 쳐진 동그라미나 네모를 고누밭으로 삼고 각각 말 두 개씩 사용하여 진행된다. 시작 위치에서부터 한 칸씩 말을 이동, 상대방 말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 호박고누 (또는 사발고누·돼지고누)

    각각 말 3개씩 자기 진영에 올려놓고 한 칸씩 움직인다. 원 안에서는 선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진영을 나온 말은 다시 자기 진영이나 상대 진영에 들어갈 수 없다. 서로 번갈아가며 말을 하나씩 움직이다가 상대방의 말을 원 안에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만들면 이긴다.

  • 참고누 (또는 곤질고누·짤고누·꽂을고누·곤지리)

    12개의 말을 번갈아 가며 하나씩 교차점에 놓아간다. 가로, 세로, 대각선의 일직선상에 말 세 개를 놓으면 “꼰‘이라 외치며 상대 말을 따낸다. 말을 따낸 교차점에는 더 이상 말을 놓지 못하도록) 말뚝말을 놓아 표시한다. 12개의 말을 모두 놓으면, 말뚝말을 제거하고) 한 칸씩 말을 움직여 3개의 말을 일직선으로 만들고 ”꼰“이라 외치며 상대 말을 따낸다. 말밭에 상대 말이 2개 남게 되면 이긴다.

고누 놀이방법 (호박고누, 밭고누, 사방고누, 다섯줄고누, 팔팔고누, 참고누, 문살고누, 포위고누, 우물고누, 넘기고누, 나비고누, 바퀴고누, 나홀로고누, 패랭이고누, 왕고누)
전통놀이 현대화 콘텐츠 고누
전통놀이 현대화 콘텐츠 고누

15종의 고누 말밭과 각각의 놀이 방법을 한 권의 책자로 구성해 다양한 고누 놀이를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책자는 두꺼운 판지로 제작해 내구성을 높이고, 각 장이 완전히 젖혀지는 스프링 제본으로 사용 편의를 더했다.

  • 구성: 말판 책자 1부(말판 15종), 말 30개(흑/백 각 15개), 말뚝 말 5개, 말 상자 2개
  • 소재: 종이, 나무
전통놀이 체험 영상
참고문헌

동아시아의 놀이(김광언, 민속원, 200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고누놀이”, folkency.nfm.go.kr, 2021.11.17.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 및 이용 문의는 전통문화포털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전통문화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