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진중권의 기고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 입장
게시일
2009.04.01.
조회수
4168
담당부서
공연예술과(02-3704-9536)
담당자
엄성근
붙임파일

 “정부와 국립예술단체가 규정과 원칙을 어기는 게

국민을 위하는 길이란 말인가?”

 

- 오마이뉴스 진중권의 기고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 입장 -

 

 

□ 2009년 3월24일 오마이뉴스가 게재한 <국립오페라합창단 해체는 ‘명박스러운’ 일> 제목의 진중권 기자 기고문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의 반론을 밝히고자 한다.


정부와 국립예술기관이 규정을 지키는 게 국민을 위하는 것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미 3월27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립오페라단이 운영해왔던 합창단 문제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으나, 관련문제로 인한 논란이 계속되는 바, 오마이뉴스에 반론기고(보도)를 청구하면서 다시금 반박한다.

 ○ 진중권 기자도 인정했듯 국립오페단의 합창단은 규정에도 없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진중권 기자가 언급한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부와 국립예술단체야말로 규정과 원칙에 따라 운영을 해나가는 것이 한마디로 국민을 위해 도리를 다하는 것이라는 게 문화부 입장인 것이다.


출연자 결정은 국립예술단체장의 고유권한이며, 사전 해체 통보

□ 그동안 문화부는 국립예술단체의 공연작품의 출연자 결정은 예술감독의 고유권한으로 존중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 그동안 국립오페라단이 임의로 오페라합창단을 운영한 점 역시 예술감독의 작품제작 과정의 출연자 선정차원의 재량범위로 판단하였으나, 우리부는 합창단 상임화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인정해 오지 않았다.

 ○ 이는 작품별 오디션을 통해 외부의 역량 있는 성악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며,

   - 상임단원제는 더 많은 외부의 역량 있는 예술인들의 참여와 진입을 제한하는 단점도 안고 있기 때문이다.

   - 즉, 진 기자가 합창단 필요성 여부가 중요하다고 했는데, 현임 국립오페라단장(예술감독)은 사업비를 인건비로 불합리하게 지급해온 것을 시정하고 예산절감 및 외부 개방 확대를 중시한 것으로, 이에 따라 2009년부터 오페라 합창단(41명)을 운영하지 않을 계획임을 단원들에게 이미 통보(2008.12월)했던 것이다.

□ 문화체육관광부는 4월 중 정부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에서 합창단을 운영할 계획인데, 국립오페라단 운영 합창단원들의 그간 성과와 노력, 전문성 등을 감안해 최대한 많은 인원이 선발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 이 합창단의 전문단원들은 기본급여와 함께 4대 보험 가입, 공연출연에 따른 별도 수당 등이 보장될 것이며, 전국의 문예회관과 문화소외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그러나, 오페라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리는 사안에 대해 이런 부분들은 확인조차 않은 채 진중권 기자가 ‘정치논리다’, ‘명박스럽다’라고 반인격적 발언을 하는 것은, 국립오페라단장이나 이 사안과 관련 없는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부는 시장논리로 환원할 수 없는 문화적 가치 보존을 지향

□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제껏, 그리고 유인촌 장관 취임 이후 현재까지 진 기자가 강조한 ‘시장논리로 환원할 수 없는 문화적 가치 보존’을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지향해왔으며, 이는 유인촌 장관의 인터뷰나 취임 후 성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이를 애써 외면한 오마이뉴스의 기고야말로 정치논리에 따라 편향된 시각에 따른 것이었으며,


   - 예술의전당 화재 사건 책임 이외에도 재임 중 여러 회계 관리상의 문제를 드러냈던 정은숙 전 단장의 자진 사퇴조차, 문화계 일각의 주장이라며 장관이 한 적도 없는 ‘좌파척결’이라는 발언에 따른 연좌제적인 발상으로 몰아간 것 역시 개인에 대한 인격적 모독에 해당되는 것이다.

□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마이뉴스에 문화부의 반론기고(보도)문 게재를 청구하며, 이에 불응할 시에 법적인 절차에 따라 대응할 것을 밝힌다.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문화체육관광부 "오마이뉴스 진중권의 기고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 입장"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