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2013’에 대한 검색결과는 3223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3223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문화부, 3D 콘텐츠산업 육성계획 발표 2010-05-19
    • 보도자료 2010년 5월 19일 배포 2010년 5월 19일 총 4쪽, 첨부 있음 담당 : 디지털콘텐츠산업과 권용익사무관 전화 : 02)3704-9312 / 팩스 : 3704-9319 / 이메일 : anda@korea.kr 문화부, 3D 콘텐츠산업 육성계획 발표 - 2015년 글로벌 시장 Top 5 3D 콘텐츠 강국 실현 - 2015년 까지 4천 1백억원 투입, 2조5천억원 신시장 창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관계부처 공동으로 지난 4.8 발표한 ‘3D 산업 발전전략’의 후속조치로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3D 콘텐츠 산업육성 계획을 발표하였다. 3D산업은 10년안에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을 것이며, 영화, TV, 모바일에서 의료, 교육 등 모든 비즈니스에 3D시대가 열릴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특히, 3D 콘텐츠 산업은 △ 급격한 시장확대 △ 새로운 일자리 창출 △ 콘텐츠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한류의 지속창출을 통한 국격 제고 등 글로벌 문화강국을 견인할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3D 시대의 개막을 연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의 예와 같이 3D 산업을 이끌어가는 것은 콘텐츠라고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를 선도하는 3D TV에 비해 3D 콘텐츠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중앙아시아 신화·설화·영웅서사시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포럼 개최 2010-05-03
    • ~ 2013 2014 ~ 계속 ※ 권역별 특성화 교류는 향후, 전문 연구 및 국가간 합의를 통하여 결정 □ 추진계획 1. 한-아세안(10개국) : 한-아세안 전통 오케스트라 활성화('09년~) - 다양성과 원형이 잘 보존된 아세안 전통음악을 소재로 활용 ※ 한-아세안 정상회담 중 오케스트라 창단공연(‘09.5) - 음원산업과 연계하여 문화전당의 수익 모델 창출 2. 한-중앙아시아(6개국) : 신화·설화 스토리텔링위원회 운영('09년~) - 실크로드를 배경으로 한 중앙아시아 영웅서사시를 문화자원으로 개발 ※ 한-중앙아시아 신화․설화․영웅서사시 공동조사․출판 및 디지털아카이브 구축(‘10) - 스토리텔링 작업 후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문화콘텐츠 창작소스로 활용 3. 한-남아시아(7개국) : 한-남아시아 전통무용단 창단('12년) - 남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전통무용의 원형 및 문화자원 활용으로 새로운 공연 콘텐츠 개발 ※ 아시아 무용 심포지엄('10.5월) 및 한-남아시아 문화자원 협력회의 개최('10.10월) 4. 한-동북아시아(6개국) : 전통극단 운영('13년) - 경극·창극·가부키 등 동북아 지역의 전통연희 양식 활용 5. 한-아랍(22개국) : 영상위원회 운영('14년) - 아랍문화 등...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녹색관광 활성화 기반구축 마련, 관광산업을 통한 녹색성장 앞당긴다. 2010-04-28
    • 보도자료 2010년 4월 28일 배포 2010년 4월 28일 총 3쪽, 첨부 : 1개 담당 : 녹색관광과 김순정사무관 전화 : 02)3704-9914 / 팩스 : 3704-9929 / 이메일 : sunjeong@mcst.go.kr 녹색관광 활성화 기반구축 마련, 관광산업을 통한 녹색성장 앞당긴다. - 문화부, ‘녹색관광 기본계획’ 수립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화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을 기조로 기존의 관광산업을 저탄소 녹색관광으로 리모델링하고 녹색 콘텐츠 및 상품을 개발하는 『녹색관광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본 계획은 전문가 자문회의 및 포럼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확정했다. □ 녹색관광은 세계적 흐름이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향후 60년의 국가비전으로 제시(‘08.8)하였으며, 문화부는 국민들이 일상 생활문화 속에서 참여하는 문화전략(‘08.10) 등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21세기형 고부가가치 산업인 동시에 환경 및 기후변화와 관련성이 높은 녹색성장 산업이며, 관광형태는 기존 관람형에서 생태․레저․문화․스포츠가 어우러진 체험형으로 변화하고 있고 자연관광 시장은 빠르게 성장(UNWTO, 2004)하고 있다. 녹색관광을 통해 환경보전 및...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IT와 콘텐츠 기반으로 전자출판산업 선도국가 도약 2010-04-26
    • 및 성장추이> (단위: 백만 달러) 권역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연평균 성장률 세계 1,224 1,631 2,191 2,477 3,006 3,790 5,048 6,532 8,262 27.2% 북미권 796 976 1,209 1,588 2,005 2,488 2,984 3,447 3,890 21.5% 유럽권 30 68 117 146 194 292 519 837 1,257 53.8% 일본 168 243 327 358 394 454 529 626 746 15.8% 중국 11 21 41 51 67 102 157 224 304 42.9% 아․태권 82 170 311 349 424 561 885 1,225 1,585 35.3% 남미권 26 52 94 103 123 162 257 360 480 36.0% * 출처: PwC,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09-2013,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콘텐츠시장조사’ ❍ 아마존, 구글, 소니, 애플, 야후와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을 중심으로 하는 대자본이 현재 글로벌 전자출판시장을 선도 사례 세부내용 전자책 열풍을 주도한 '킨들' 출시, 2009년 현재 미국 전자책 단말기 시장에서 킨들은 65% 차지 전자책 단말기 리더와 전자책 서점인 '소니 커넥트'를 통해 1만여종의 전자책 콘텐츠 제공 애플은 모바일 태블릿PC ‘iPad' 출시, 국제적인 출판그룹과 함께 iBookstore를 개설하고 전자책시장에 본격진출, 새로운 강자로...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녹색관광 활성화 기반구축 마련, 녹색성장 앞당긴다. 2010-04-20
    • 연계하여 이야기가 있는 녹색관광상품 개발 □ 한국형 생태관광 모델 개발 ○ 자원유형을 고려하여 10개 생태관광 시범사업 선정, 2013년까지 생태관광 모범사례 창출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 습지, 산/강, 철새도래지 등 자원유형별로 신두리 해안사구, 순천만, 우포늪, 천수만, 진안 마실길, DMZ, 제주 거문오름 등 시범사업 선정 - 시범지역별 특성화, 차별화 강화를 위한 자문,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컨설팅단 구성․운영 및 생태관광 매뉴얼 작성 ○ 해외 홍보․마케팅 강화를 통해 외래 관광객 유치 활성화에 기여 - 순천만, 우포늪 등 기존 생태관광지 중심 해외 홍보 전개(팸투어 등) - 생태관광 헌장 선포식, 생태관광의 날 행사 등 추진(환경부 공동) □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조성 ○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녹색 여행길 조성 - 옛길, 4대강, DMZ, 동해안, 남해안권 등 우리 국토의 선형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테마가 흐르는 도보 중심의 여행길 구축 (‘12년까지 1,200km 조성) * ‘09년 박경리 토지길, 소백산자락길 등 7개 노선 선정 지원, ’10년 12개 내외 노선 선정 ○ 문화생태탐방로의 체계적인 관리 및 홍보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부, 콘텐츠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2010-04-08
    •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해 대형 해외공동제작이나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민간(대기업)․해외투자자가 중심이 되어 2013년까지 2천억원 규모의 글로벌 펀드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 투자자들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우리 콘텐츠 기업의 글로벌 제작 및 마케팅 능력도 향상되어 시장 판로를 개척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일본 정부도 글로벌 콘텐츠 펀드 조성을 추진 중(경제산업성, 2010.3) 아시아 CG산업의 중심축 형성으로 해외 시장 적극 공략 문화부는 CG 관련 기술 개발과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현재 연간 3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할리우드 CG 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첨단 CG에 대한 R&D 자금 지원을 확대하고(‘10년 203억원 → ’14년 400억원), 해외 CG 프로젝트 수주시 일정비율의 제작비 지원(약 20%내외) 등을 통해 올해 약 1,000억원(5건) 규모의 해외수주를 달성, 현 1,300억원 규모의 국내 CG 시장을 ‘14년까지 6,3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국형 저탄소 녹색관광 본격 시동 2010-03-24
    • ❍ 역 할 : 녹색관광지 조성사업에 대한 심의 및 조정, 자문 주요 활동 계획 ❍ 사업 대상지 현장조사 및 지역관계자 면담 ❍ 기본‧실시설계계획 수립 방향 제시 및 자문 ❍ 녹색관광사업 진행사항 공론화 및 의견수렴을 위한 세미나 개최 ❍ 녹색관광사업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홍보활동 지원 사업 대상지(15곳) ❍ 모델사업 대상지(10곳) 유형 대상지 주요자원 해안자원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 연안습지 순천시 순천만 내륙습지 창녕군 우포늪 철새도래지 서산시 천수만 화석/동굴 평창군 마하 생태관광지, 백룡동굴 산/강 영주시 소백산 자락길 진안군 고원마실길, 데미샘 DMZ 파주시 서부 DMZ 화천군 동부 DMZ 섬 제주도 거문오름, 생물권 보전지역 ❍ 폐선철로사업 대상지(5곳) 권 역 지자체 사업기간 사업범위 도입시설(지자체 제안내용) 강원권 춘천시 2010~2013 남이섬(신설)~경강역 ~김유정역(23km) 레일바이크, 관광/테마열차, 생태공원, 식물원 수도권 남양주 2010~2013 구팔당역~능내역 ~운길산역(8.8km) 기차펜션, 풍경열차,산책로, 조명시설(터널구간),레일바이크 동남권 김해시 2010~2015 모정터널~낙동강교(4km), 장방리~좌곤리(8km) 레일바이크, 익스트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부 “Korea Content”서비스 전용공간 마련 2010-03-17
    • 지난 2008년 11월에 콘텐츠시대를 선도하는 국가미래 유망전략산업으로 ‘애니메이션만화캐릭터산업진흥 중기계획(2009~2013)’을 수립하고 이에 의거 지난 1년간 창작역량 강화와 해외진출, 인프라 구축 등에서 꾸준한 성과를 보여 왔다. 이번 애니메이션⋅만화⋅캐릭터 산업의 ‘2013 CAN(Cartoon + Animation) 혁신계획’은 새로운 시장과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변화된 산업유통구조에 맞는 콘텐츠의 글로벌화에 정책방향을 집중했다. 애니메이션⋅만화⋅캐릭터 콘텐츠 육성을 위해 △차세대 뉴미디어를 위한 디지털화 지원 △디지털 오픈마켓 시장 활성화 △미국, 중국 콘텐츠 전략시장 진출 확대△투자·제도 개선 및 일자리 창출이라는 4대 혁신과제와 부문별 8대 주요사업이 주축이 되어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과제별로 △디지털화-①차세대 3D 입체 애니메이션·만화 콘텐츠 개발 ②학습기반의 디지털 애니메이션·만화 제작, △오픈마켓-③오픈마켓 'KOREA-CONTENT' 서비스 공간 마련 ④1인 오픈마켓 서비스 사업자 전담 프로그램 개발, △전략시장-⑤한·중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추진 ⑥국산만화의 해외시장 전문유통 회사 설립, △투자⋅제도⋅일자리-⑦모태펀드...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가족과 함께, 틈만 나면 찾아갈 수 있는 도서관 환경 구축 2010-03-15
    • 건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o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수는 인구 7만명당 1개관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문화부는 2013년까지 공공도서관을 900개관까지 확충하여 공공도서관 1관당 평균 봉사대상인구수를 5만명 수준으로 개선한다. 전국 어디서나 틈만 나면 10분 이내에 도서관을 찾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은도서관의 건립 추진을 확대한다. 금년에는 농산어촌지역 14개소, 생활밀착형 42개소, 주민개방 학교도서관 12개소 등 전국에 총 68개의 작은도서관 건립을 지원(33억원)하며, 내년부터 예산규모를 확대하여 농산어촌 및 문화소외지역의 혜택을 늘리고 국립도서관,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재정자립도가 30% 이하인 지자체에는 건립비용의 70%(최고 7천만원)까지 지원하며, 30% 이상인 지자체에는 건립비용의 50%를 지원한다. □ 도서관 건립에 내실을 기하고 지역특성과 교육․문화적 기능이 강화된 친환경 도서관이 건립될 수 있도록, 올해에도 전국 10개 도서관을 선정하여 도서관 건립과 운영 전반에 걸친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