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정책

‘보조사업’에 대한 검색결과는 454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주요정책: 454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성과관리 전략계획(2021~2025) 2021-05-14
    • 확충 ㅇ 운동장ㆍ체육관 등 관리ㆍ운영 실적이 우수한 공공체육시설 선정 지원 및 사례 전파 □ 스포츠 강사 배치 및 학교체육 정상화 ㅇ 전국 초등·특수학교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여 체육수업 보조 및 방과 후 체육활동 지도 ㅇ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 토요스포츠강사를 배치하여 토요스포츠 강습, 스포츠클럽 지도 ㅇ 학생선수 육성체계 개선을 통한 학교체육 정상화 (3) 외부환경 및 갈등요인 분석 □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 여건 미비(비참여 이유) ㅇ 국민들이 체육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간 부족(65.0%) △관심 부족(46.7%) △체육시설 접근성(27.7%) △지출비용 부담(26.1%) 등 * 만10세 이상 국민 9천 명 대상「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ㅇ 대도시 등 인구밀집 지역의 경우,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에 비해 이를 수용할 생활체육 공간 부족 ㅇ 생활체육 미 참여자들에게 있어 바쁜 일상 등 시간적 요인 외에 운동시설의 이용료 및 접근성이 주요한 애로요인으로 작용 (4) 참고자료 □ 참고통계 ㅇ 2020 전국공공체육시설 현황(2019년말 기준) ㅇ 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 관계기관 홈페이지 ㅇ 대한체육회(www.sports.or.kr) ㅇ...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1 문화예술교육 시행계획 2021-05-13
    • (4월) ‘21년 꿈꾸는 예술터 심사, 선정(3개소), 보조사업 수행상황 점검 / 강릉시(’21. 4. 5, 재단장 공사 방향 및 연내 개관 협의) ▪ (5월) 기존‧신규 조성지역 대상 컨설팅 및 워크숍 지원(10개소) 등 3/4분기 ▪ (7~9월) 꿈꾸는 예술터 조성 지원 계속 4/4분기 ▪ (12월) 강릉 꿈꾸는 예술터 개관 부서명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 담당자 김은희과장044-203-2761youdoit@korea.kr 정인양사무관044-203-2762dao21@korea.kr ..PAGE:20 - 18 - 1-2-2 지역 내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공간 지원 < 주요내용> ㅇ (문화파출소) 파출소 유휴공간을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운영 ㅇ (문화예술교육 공유공간 개방) 지역 내 유휴공간을 발굴·개방, 예술활동 지원 Ⅰ. 과제개요 ㅇ 주요경과 - (‘16.3월) 문화파출소 사업운영 적합 치안센터 현장실사 및 선정 - (‘16.6월) 문화파출소 강북 개소(시범운영) - (‘17년~’19년) 문화파출소 9개소 운영 - (‘20년~’21년) 문화파출소 사업의 단계적 지역 이관(4개소 완료) *(지원주요경과)9개소(`16년/국비)→7개소(`20년/지방비대응)→5개소(`21년/지방비대응) *(사업이관)4개소(`19년제주서부,전북덕진/`20년서울강북,전남여수) ㅇ...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문재인정부 4주년 성과자료집 2021-05-10
    • 지방세 구조를 개선하고 중앙정부의 기능을 지방으로 이양하는 등 재정분권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018년 2019년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소비세 인상분 기초단체·교육청 재원보전 자치단체 전환사업 재원보전 잔여분 (1:2:3 적용 + 상생기금 출연) 기존 지방소비세 2020년 11% 11% 8.5조 증가 11% 4.0조 3.6조 0.9조 +4%p +10%p 1단계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소비세 인상분 배분 아울러, 자치단체 스스로 재원을 확충할 수 있도록 외부불경제 유발행위를 과세대상으로 하는 지역자 원시설세 확대 등 신세원 발굴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방세 감면율이 법정 목표를 준수하는 동시에 적극적 인 지출을 통해 코로나19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방세 지출을 합리적으로 재 설계하고 있습니다. ..PAGE:201 401 400 문재인정부 4년 100대 국정과제 추진실적 Ⅱ 100대 국정과제 추진실적 2 국민이 주인인 정부 1 코로나19 대응 및 포스트코로나 대비 3 더불어 잘사는 경제 4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 5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6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이전재원 조정으로 지방재정의 자주역량 제고 및 재정균형 달성 ‘지방의 일은 지방의 재원으로...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1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2021-04-30
    • 구 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1/4분기 ㅇ지역신문 우선지원대상사 선정 ‘21.1월 ㅇ신문 수송, 우송사업 보조사업자 선정 ‘21.1월 ㅇ소외계층 구독료 지원 보조사업자 선정 ‘21.1월 ㅇ대학뉴스활용강좌 보조사업자 선정 ‘21.1월 ㅇ신문윤리심의지원 사업 지원 ‘21.1월~12월 ㅇ교육부 지정 미디어교육 종합교육연수원 인가 실사 및 선정 ‘21.3월~4월 ㅇ뉴스저작권 계약 체결 ‘21.1월~2월 ㅇ단체지원 보조사업자 선정 및 지원 ‘21.2월~12월 ㅇ뉴스콘텐츠제작지원 보조사업자 선정 ‘21.3월 ㅇ미디어교육 교사연수 실시 ‘21.3월~12월 ㅇ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학교 선정 ‘21.2월 ㅇ통합CMS 이용 지원사 선정 ‘21.3월 ㅇ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사업계획 승인 및 실시 ’21.1월~12월 ㅇ미디어교육 시설 및 단체지원 보조사업자 선정 ‘21.3월 ㅇ방송영상 기획취재 지원사업 지원사 선정 ‘21.3월 ㅇ언론인 해외장기연수 지원 ‘21.3~12월 ㅇ국제언론교류 지원 ‘21.3월 ㅇ디지털 저널리즘 연수 지원 ‘21.3월~12월 ㅇ허위조작정보 대응력 강화를 위한 팩트체크 연수 지원 ‘21.3월~12월 ㅇ뉴스콘텐츠 디지털화 지원사 선정 ‘21.3월 ㅇ언론분야 통계조사 실시...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0년 자체평가 결과보고서 2021-04-28
    • 현장의견을 반영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함 ※ ‘19년 자체 평가(보통), 보조사업 연장평가 (지적없음) 3-2. 현장의견 수렴 및 반영(10점) 10 ㅇ 도서관컨설팅, 1관1단 등 주요사업에 대해코로나 19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화상 회의 및 다양한 비대면 교육 등을 통해 전문가 자문, 현장 담당자 의견 수렴, 수요자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현장의 문제점 개선 반영 4 이용자 중심의 박물관 서비스 활성화 미흡 (1) 평가결과 □ 총평 ㅇ 코로나19 지속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프로그램 활성화, 기획전시 지속개최, 안전한 관람환경 조성, 사립박물관 지원 강화 등 이용자 중심의 박물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 <국립 박물관·미술관 지표 : 휴일·야간개관을 통한 국민문화향유권확대> ㅇ (실적악화) 코로나 19로 인해 국립문화시설 개관시간 연장 및 야간프로그램 운영* 2월부터 전면 중단, 전년대비 관람실적 대폭악화 * 평일야간 및 휴관없는 박물관 미술관 운영을 위한 고객응대인력(안내·작품관리원 등) 인건비 지원 사업으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온라인화를 위한 예산으로 변경사용 불가 <국립박물관‧미술관 및 국립중앙도서관 등 19개 기관 126천명(전년대비...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19년 기준 스포츠산업조사 결과 보고서 2021-04-13
    • : 조사된 사업체 변수  : 표본수  : 모집단수   : 특성치 총계  : 조사된 사업체의 특성치  분산 추정  스포츠산업 대분류별 지역별 총계 추정치의 분산 추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AGE:33 제1장 2019년 기준 조사개요 23  스포츠산업 대분류별 세세분류 총계 추정치의 분산 추정식           단,              분산 추정             ×   주요항목 무응답 대체  전수층에서 무응답이나 응답거절로 응답률이 100%가 되지 않는 경우 무응답에 대한 대체가 필요함  무응답은 단위 무응답과 항목 무응답2)으로 구분되며, 단위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는 주요항목에 대한 2차 자료(매출액, 종사자 수 등)를 통해 이를 보정3)하였고, 항목 무응답에 대해서는 일부 조사항목의 무응답 대체를 위해서 무응답대체(imputation)를 사용하였음  본 조사에서 사용된 무응답 대체 방법은 층 내에서 무응답이 발생한 조사항목과 보조 변수간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모형의...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 결과보고서 2021-03-26
    • 장비로 보조기구라고도 함 · 장애인 보장구는 장애인의 장애의 예방·보완과 기능 향상,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해서 사용하는 생활용품 보행기 ·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의 보행을 돕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행 보조기구 구기류 · 야구, 축구, 탁구, 농구 등 공으로 하는 운동종류에 필요한 모든 기구 [표 1-17] 기타 용어 정의 ..PAGE:44 26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 결과 보고서 용어 정의 라켓류 · 테니스 라켓, 탁구 라켓, 배드민턴 라켓 등 공 또는 셔틀콕을 치는 모든 기구로 야구방망이를 포함함 저강도 (약하게) · 운동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을 정도의 약한 운동 강도 중강도 (중간정도) · 운동하면서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정도의 운동 강도 고강도 (강하게) · 운동하면서 숨쉬기 힘들어 대화하기 어려운 정도의 강한 운동 강도 홈 트레이닝 · 헬스장과 같은 체육시설이 아닌 집 혹은 혼자 자신의 체중이나 간단한 소도구를 이용한 운동 장애인 생활체육 · 장애인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한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체육활동으로 학교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행하는 활동 이외에 장애인의 건강, 위생, 복지향상 등을 목적으로 행하는 각종 체육이나...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1년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계획 2021-03-19
    • ..PAGE:1 □ 사업 개요 ㅇ (사업목적)공공도서관개관시간연장운영을통한국민문화향유기회 확대및사서등전문인력일자리창출 ㅇ (사업기간)단년도계속사업 ㅇ (사업예산) 18,895백만원(국비)*자치단체경상보조18,844백만원 ㅇ (지원대상)지자체및교육청소속공공도서관 ㅇ (지원내용)공공도서관자료실연장운영(22:00까지)을위한인건비 ㅇ (지원형태)자치단체경상보조(50%) ㅇ (연도별 지원내역) 구분 ‘07~’09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계 지원관수(개) 450 257 300 357 364 425 427 483 512 525 525 534 5,159 인원(명) 1,714 706 832 1,0061,046 1,234 1,227 1,152 1,258 1,309 1,313 1,358 14,155 예산(백만원) 16,699 6,4416,4418,0009,05010,32110,54912,34312,34314,66116,74018,358 141,946 □ 2021년 지원 계획 ㅇ (지원규모) 551개관 1,434명 / 17개시・도, 4개교육청 ㅇ (지원예산) 18,486백만원 * 공모잔액358백만원추가공모예정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개소인원 개소 인원 도서 관수 시․도 94296 27 83 8 23 27 62 5 14 18 38 4 12 13 26 195...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1년 작은도서관 조성지원 사업 추진계획 2021-03-19
    • (지원내용)작은도서관조성(리모델링포함)공사비및자산취득비지원 *공사비는설계비,감리비,시설부대비포함 *자산취득비(자료,PC,서가등)는총사업비의30%이내사용 ㅇ (지원조건)지자체자본보조(지원률 70%,최대 98백만원) *복합화시80%(최대112백만원지원) ㅇ (지원근거)작은도서관진흥법제5조(작은도서관의설치및운영) □ 지원 계획 ㅇ 15개 시·도 68개관 6,625백만원지원 ㅇ 지역별지원내역 (단위: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원 관수 3 6 - 6 2 5 5 1 7 5 2 4 9 9 1 3 - 예산 336 616 - 640 210 306 408 98 648 532 210 406 910 911 98 296 - ㅇ 보조금운영방향 - 시설간복합화를통한이용자편의증대,부지매입비등예산절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작은도서관조성 - 생활밀착형 작은도서관 조성을 통한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 및 대국민문화향유기회확대 「2021년 작은도서관 조성지원 사업」계획 0000000000000 ..PAGE:2 □ 지원 세부내역 시도 시군구 사업명 지원액 (백만원) 서울 강동구 강동구 해공노인복지관 내 햇살작은도서관 조성 112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구 북가좌2동 복합청사 건립사업...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
  • 2021년 공공도서관 건립지원 사업 추진계획 2021-03-19
    • ..PAGE:1 「2021년 공공도서관 건립지원 사업」계획 0000000000000 □ 사업 개요 ㅇ (사업목적)지역주민의정보양극화해소및문화향유권확대 ㅇ (사업기간)단년도계속사업 ㅇ (지원내용)공공도서관건립및노후공공도서관리모델링지원 ㅇ (지원조건)지자체자본보조(보조율 40%,부지매입비제외) *농어촌은지원률80%(최대16억)지원,복합화시보조율10%상향 ㅇ (지원근거)도서관법제27조및동법시행령제17조 □ 지원 계획 ㅇ 16개시·도 160개관 177,223백만원지원 ㅇ 지역별지원내역 (단위: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원 관수 11 12 5 7 6 2 4 29 14 8 10 10 12 15 14 1 예산 8,912 20,245 2,386 4,081 21,514 2,256 4,093 33,579 11,661 5,950 11,113 10,427 12,240 14,557 12,909 1,300 ㅇ 보조금운영방향 - 시설 간 복합화를 통한 이용자 편의 증대, 부지 매입비 등 예산 절감,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확충 -지역간균형있는공공도서관건립하되효율적인운영계획수립후추진 -제로에너지건축물및 ICT기술을활용한인문친화적공간조성지향 - 대형·단독시설 위주의 도서관 건립을 지양하고...
    • 주요정책 > 분야별 정책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