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문화의 디지털 서비스 개발 및 소외계층의 전통문화 체험확대를 통하여 보편적 문화유산 향유 기회 제공
디지털전통문화 서비스 개발
- (전통문화사랑방 개설) 전통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유발로 대국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 한스타일 홈페이지를 확대 개편(‘13년)
- 한국문화의 모델 정립·제시, 정부의 전통문화 대중화·현대화·세계화 정책 및 다양한 국내외 융화사례 소개
-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 등 이벤트 개최, 시상
- 전통문화 동아리, 카페 등 자발적 커뮤니티 단체 활동 및 개발자간 협업시스템 지원
- (전통문화 가상체험) 전통문화에 대한 다양한 디지털 가상체험시설을 구축하여 국민들이 체험할 수 있는 기회확대
- (가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보유 유물의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박물관 가상체험 서비스 제공(네이버와 중박 MOU체결, ‘11.9월)
- (3D 제작서비스) 중요 무형문화재의 제작·실연과정 및 주요 유형문화재를 3D 또는 홀로그램으로 제작하여 보존·계승 및 활용 극대화
- - 초·중·고등학교 실습교재 및 방과후 학교 교육재료로 보급(문화재청, ‘12년 3건→‘13년 5건)
- - 지자체 3D영상관 상영용 전통문화 관련 3D콘텐츠 제작지원(‘12년 2건 예정)
- - 전통문화 홀로그램을 한글박물관 등 국가주요 문화시설에 설치
- (스마트 전통문화서비스) 전통문화에 대한 일반인 및 개발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기기에 활용될 서비스 개발
- (오픈API개발) 스마트폰·태블릿 PC 등 스마트콘텐츠 앱개발자들이 전통문화 디자인·소재·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의 오픈 API 개발 지원(‘12년)
-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서 판소리, 국악 등 한국전통소리문화 오픈 API 개발지원 중
- (문화재 안내서비스) 안내·해설자 없는 현장탐방 환경조성을 위해스마트폰의 증강현실(AR)기술을 활용, 문화재 안내서비스 구축
- * ‘12년도(문화재청)에 우선 덕수궁, 해양문화재 연구소에 구축하고 연차적으로 확대
- (앱공모전 개최) 1인 개발자 대상, 전통문화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앱) 서비스 모델 개발 공모전 개최(‘12년)
- - 자발적인 앱개발자 모임인 스타트업 위크앤드 행사시 전통문화 디자인·소재·기법을 활용한 앱개발을 주제로 추진
- * 아마추어 앱개발자들이 특정한 주제를 정하여 주말 2박3일간 합숙하면서 서로 협력하여 앱을 개발하고 우수작품을 시상
소외계층 전통문화 향유 환경조성
- (문화유산 누림사업) 소외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전통문화 탐방 프로그램 운영( ‘12년)
- 사회복지기관·시설 등 도시지역 저소득층의 문화재 탐방을 지원(2회) 하는 ‘문화재 행복버스’ 운영(‘12년, 문화재청)
- 도서·벽지 등 소외지역 청소년 대상으로 ‘부모님과 함께하는 문화재 탐방’ 운영(‘12년 문화재청)
-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하는 역사·문화를 통한 소통기회 마련을 위한 ‘장애우 대상 문화재 탐방 프로그램’ 운영(‘12년, 문화재청)
- 전국 노인정, 노인회, 마을 회관, 노인 휴양시설 등과 연계한 국악체험교실 운영 및 국악, 판소리, 민요 등 소규모 야외공연 개최(‘12년)
- (소외계층 문화유산 체험확대)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기회 확대 (‘12년)
- 다문화가정 어린이, 장애아동 등 궁궐 숙박 및 왕실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12년, 문화재청)
- 농어촌, 산촌 등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및 해양문화재 이동박물관 운영 등 지원(‘12년, 문화재청)
- 국립국악원 시각장애인 전통예술단원의 별도 장애인 연주단 편성 검토 및 공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