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의 창조적 활용을 통한 타산업 연계 확산 및 부가가치 창출 여건 마련
< 문화원형 활용 우수사례 >
< 시도별 고택·종택 현황 >
구분 | 서울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계 |
---|---|---|---|---|---|---|---|---|---|---|---|---|---|---|---|---|
국가지정 | 1 | 2 | - | - | 1 | - | 8 | 6 | 16 | 12 | 5 | 31 | 69 | 6 | 5 | 162 |
시도지정 | 25 | 1 | 2 | 5 | 8 | 2 | 20 | 44 | 23 | 25 | 19 | 36 | 217 | 43 | 3 | 473 |
합계 | 26 | 3 | 2 | 5 | 9 | 2 | 28 | 50 | 39 | 37 | 24 | 67 | 286 | 49 | 8 | 635 |
[고택 관리전담 사회적 기업 설립 추진안]
- 목적 : 기업의 경영기법을 적용, 관리가 부실한 지방의 고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소중한 전통문화시설로서 체험관광 등 활용
극대화
- 자본금 등 재원 : 기업(자본금 출연), 지자체(프로그램 운영비, 시설 개보수비 등 지원)
- 주요사업 : 고택 관리, 전통문화 체험 시설 매뉴얼 개발, 홍보 및 마케팅
[2011년 추진프로그램 예시]
경회루 연회(‘11.5~6), 창덕궁 달빛기행(‘11.4~11), 대한제국 외국공사접견례(‘11.8~10), 전통혼례 및 신행길놀이 재현(‘11.3~9), 조선시대 궁중생활재현 행사 ‘왕가의 산책’(‘11.2~11), 궁궐 일상모습 재현 및 체험행사(‘11.2~11) 등
[전통문화와 첨단기술 접목 R&D 사업 예]
전통문화를 콘텐츠산업과 접목하여 디지털화·첨단화하기 위한 기술연구·개발
- 전통공연 소재를 활용한 첨단공연 콘텐츠화
* 전통공연 첨단화, 전통의 문자/문양/한글을 구현하는 불꽃놀이 개발
- 디지털화를 통한 전통문화의 대중화
* 국악(기)디지털화, 국악(기) 표준화, 국악 정간보 변환도구 및 저작도구 개발, 입체형 문화재 실사크기 원색 홀로그램 제작기술
- 전통제작기법의 규격화를 통한 전통문화의 활성화
* 국악(기) 튜닝법 및 교육용 축소모델 개발, 전통 공예용 옻칠재료 규격화 및 대량생산기술, 전통 한지 규격화 및 대량생산 기술, 전통 소목장 ‘짜맞춤’ 설계 아카이브 기술
전통문화와 로봇기술을 융합하여 첨단 콘텐츠화 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확대(‘12~‘13년)
- 종묘제례 등 스토리 중심의 다양한 전통문화 로봇공연단 등 구성
* 소외지역학교 순회 궁중음악(종묘제례, 대취타, 처용무) 재현 로봇공연단(22대) / 국악공연장 춘앵무 공연로봇(2대) / 이동형 로봇을 활용한 격구, 길놀이 등 전통놀이 재현(12대)
- 공공박물관 전시물 소개 및 안내를 위한 박물관 해설사 로봇 운영(8대 내외)
- 한복, 의례 등을 중심으로 패션(마네킹) 로봇 개발운영(20대 내외)
* 일반매장, 패션쇼, 한식행사 등 전통의상 분야와 연계하여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