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과제 | 일정 | 주관부서 (협조부서) |
---|---|---|
1. 전통문화 저변 확대(대중화) | ||
1-1. 전통문화디자인 등 활용 확산 | ||
1. 정부 및 지자체 청사 신축 시 한국적 디자인 적용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2. 지방이전 공기업, 혁신도시 한국적디자인 적용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3. 해외공관 한국의 문화적 품격의 실내디자인 반영 | ‘12년 상반기부터 | 해외문화홍보원 (지역민족문화과) |
4. 세종시 ‘한문화 마을’조성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5. 국가 주요 의례 한국 스타일화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6. 민간 활용 한국생활문화 모델 모범사례 발굴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관광진흥과) |
7. 호텔, 공항 등 외국인 접점지역 한국생활문화 보급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관광진흥과) |
8. 사진을 통한 고품격 한국문화 우수사례 콘텐츠화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9. K-POP 등 대중문화 국내외 공연 시 전통문화 활용 | ‘12년 상반기부터 | 대중문화팀 (지역민족문화과) |
10. 한복 인센티브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11. 전통문화 대중화 유공자 포상 | ‘12년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1-2. 생활속 전통문화를 통한 내수촉진 | ||
1. 한국문화 DNA발굴 확산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2. 4대강 역사문화기행 콘텐츠 개발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관광개발지원과) |
3. 10대 전통문화촌 지정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관광진흥과) |
4. 토요문화학교 등 문화예술교육 전통문화 확대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예술교육과 |
5. 전통문화 명인 명예교사 프로그램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예술교육과 |
6. 문화바우처 기획사업에 전통문화 확대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여가정책과 |
7. 대표 명품 전통축제 개발 | ‘13년 상반기부터 | 관광진흥과 (종무1담당관실) |
8. 대표 공연 개발 | ’12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
2. 전통문화 융화 촉진 | ||
2-1. 전통문화자원의 창조적 활용여건 마련 | ||
1. 문화원형 DB 활용기반 조성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2. 전통문양 DB구축 | ‘12년 상반기부터 | 정보통계담당관 |
3. 민간소장 문화유산 DB구축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4. 전통예술 원형복원 | ‘12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
5. 창의형 명품인재양성 | ‘13년 상반기부터 | 디자인공간문화과 |
6. 현장형 고급인재양성 | ‘13년 상반기부터 | 디지털콘텐츠산업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7. 무형문화유산의 지식재산권 보호 | ‘13년 상반기부터 | 문화재청 |
2-2. 산업간 연계·활용 촉진지원 | ||
1. 고택·종택 전통문화 체험시설 조성 | ‘12년 상반기부터 | 관광진흥과 |
2. 고택관리·활용 전담 사회적 기업 설립 지원 | ‘12. 하반기부터 | 관광진흥과 |
3. 탬플스테이, 서당․서원․향교문화 관광상품화 | ‘12년 상반기부터 | 종무2담당관실 관광진흥과 |
4. 고궁 등 역사문화 관광상품화 | ‘12년 상반기부터 | 관광진흥과 |
5. 역사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지원 | ‘12년 상반기부터 | 영상콘텐츠산업과 |
6. 전통문화 소재 스토리 개발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산업정책과 (공연전통예술과) (방송영상광고과) |
7. CT R&D 확대 | ‘12년 상반기부터 | 디지털콘텐츠산업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8. 디자이너와 전통문화 협업 지원 | ‘12년 상반기부터 | 디자인공간문화과 (지역민족문화과) |
9. 전통디자인, 재료의 산업적 활용 지원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10. 예술분야 ‘융복합프로젝트’ | ‘12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
3. 해외진출 활성화 | ||
3-1. 전략적 문화교류 활성화 | ||
1. 국제교류심의위원회 운영활성화 | ‘12년 상반기부터 | 해외문화홍보원 |
2. 아시아국가 전통문화교류 협력체계 구축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3. 문화콘텐츠 ODA확대 | ‘13년 상반기 | 해외문화홍보원 |
4. 계기별 대규모 문화행사 개최 | ‘12년 상반기부터 | 해외문화홍보원 공연전통예술과 |
5. 세종학당 한국문화 확산 진원지화 | ‘12년 상반기부터 | 국어정책과 |
6. 대학생 문화교류사절단 | ‘13년 상반기부터 | 해외문화홍보원 |
7. 문화통신사(Global Culture Co-ordinator) 육성 | ‘13년 상반기부터 | 해외문화홍보원 |
3-2. 글로벌 시장 개척 | ||
1. 컨퍼런스&전시회 개최 | ‘13년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2. 국악퓨전음반 대기업 공동 제작·활용 | ‘13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
3. SNS플랫폼 활용 전통음악․무용 소개 | ‘13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
4. 대기업 국제 홍보전시관 전통문화상품 활용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5. KOTRA와 협력 전통문화상품 마케팅 지원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6. 해외마켓 참가 지원 | ‘12년 상반기부터 | 공연전통예술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7. 해외시장 정보·투자 지원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8. 해외판매점 개설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4. 전통문화진흥 기반 조성 | ||
4-1. 인프라 확충 | ||
1. 전통문화창조센터(TCC) 구축 | ‘13년 하반기 | 지역민족문화과 |
2. 한복진흥센터 설립 | ‘12. 하반기 | 지역민족문화과 |
3. 전통문화상품 인증제도 도입 | ‘12.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디자인공간문화과 |
4. 유통시스템 구축 | ‘12년 상반기부터 | 디자인공간문화과 |
4-2. 법제도 기반조성 | ||
1. 범정부 지원협의회 구성 | ‘12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2. 국회·민간 네트워크 구축 | ‘12.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등 |
3. 전통문화 진흥 전담조직 확충 | ‘13년 상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4. 전통문화산업진흥법 제정 | ‘12.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5. 전통문화 융합 기술개발 및 투자시 법인세 감면 추진 | ‘12.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5. 전통문화 향유 확대 | ||
5-1. 디지털전통문화 서비스 개발 | ||
1. 전통문화사랑방(홈페이지) 개설 | ‘12. 하반기부터 | 지역민족문화과 |
2. 전통문화 가상박물관 | ‘12년 상반기부터 | 국립중앙박물관 |
3. 중요 무형문화재 3D 제작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재청 |
4. 오픈API 개발 지원 | ‘12년 상반기부터 | 디지털콘텐츠산업과 |
5. 스마트폰 활용 문화재 안내서비스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재청 |
6. 전통문화 활용 앱 공모전 | ‘12년 상반기부터 | 디지털콘텐츠산업과 |
5-2. 소외계층 전통문화 향유 환경조성 | ||
1. 문화유산 누림사업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재청 공연전통예술과 |
2. 소외계층 문화유산 체험 프로그램 확대 운영 | ‘12년 상반기부터 | 문화재청 공연전통예술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