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 방향]
◇ 공연예술 및 미디어아트 등 순수예술분야 융합형 기술개발
◇ 국악·공예 등 전통예술의 대중화·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 문화예술과 산업·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 개척과 산업제품의 고품질화, 문화예술의 첨단화를 위해 ‘문화예술과 산업·기술 융합을 위한 MOU’ 체결(‘12.10월, 지경부 - 문체부)
- 부대행사로 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 방향 모색을 위한 학계·업계 전문가 컨퍼런스 및 융합상품 전시회 개최
- 산업·기술 융합을 통한 문화예술 작품의 첨단화
- 지능형 공연기술 등 첨단공연기술의 결합을 통한 공연연출 효과를 극대화를 통한 국내 창작 뮤지컬의 경쟁력 강화(‘12년 17.56억 원)

- 첨단 미디어아트 저작툴 개발을 통한 세계적인 미디어아트 작가 및 작품 육성(‘12년 9억 원)
- * 디자인된 콘텐츠를 현존/개발중인 미디어 아트 기술을 반영하여 미디어아트 파일로 변환 → 시뮬레이션 → 실 제작에 필요한 설계도 제작
- 국악의 대중화 및 세계화와 전통 공예 기술의 상품화를 위한 융합 기술 개발
- - 국악 및 국악기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위한 국악기 글로벌 첨단앱 및 작·편곡 저작툴 개발(‘12년 9억 원)
- * 국악기 음원의 디지털 소스 확보 →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게 등록 → 모바일용 첨단 어플리케이션 개발
- - 전통소목장 결구법(가구, 창호)의 디지털화를 통한 가구, 소품 등 현대상품 개발에 활용(‘12년 3억 원)
- * 전통 소목장 결구법 분석·분류 → 3차원 모델링 표준화 → 소목장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디자인적용 툴 개발, 자동도면화), CNC 가공 실증연구 등 실제품에 적용

- 디지털 사이니지(Digita sinage)기반 「열린 미술관·박물관」개발
-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미술관·박물관내 관람객 소통형 전시와 공항, 지하철 환승로 등에서 미술작품·유물 등을 전시하여 한국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증진 도모(‘12년 00억 원)
- * 공공장소에서 문자·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주는 서비스
- 산업제품·기술에 동반한 문화예술 해외진출을 위해 문화예술이 융합된 산업제품·기술 개발
- 인적 교류 및 협업을 통한 문화예술과 산업·기술간의 융복합 프로젝트 지원
- - 예술인·예술기획자와 연구원·기술자간의 실험적 협업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공간 마련 및 활동 지원
- - 포럼, 학술 세미나, 협업 워크숍 등을 통한 사전, 사후 협업 역량 강화 지원
- 소재부품산업 연구사업,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 등 산업기술사업에 문화예술 인력의 교육·자문·평가 등에 참여
-
관련 사업(안)과 참여내용
관련 사업(안) |
참여 내용 |
소재부품산업 연구사업 |
감성융합·체험형 소재부품 전시 참여 |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 |
프로젝트Lab, 산학융합R&D 참여 |
공학교육혁신센터사업 |
창의적 공학교육설계 과정 참여 |
기술꿈나무육성사업 |
아이디어 개발 및 시제품 제작 멘토링 |
생활속창의공작플라자사업 |
청소년 멘토 |
기술교사연수/기술공작실사업 |
문화예술 부문 특강 |
- 문화예술 융합형 연구원·기술자양성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교육 강화
- - 기업별·직군별 적합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컨설팅 및 운영비 일부 지원
- - 산업기술 R&D사업에 지원되는 ‘창의력 향상 지원금(창의활동비)’에 문화예술 프로그램(공연·전시 관람, 문화예술교육)이 적용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프로그램 기준 정립 및 정보 제공
- * 규정상 창의활동비에 문화예술 향유비도 포함되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작품 기준이 불명확하여 실제 미적용